2019년 실시된 제117회, 제119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기출문제 모음입니다.
[목차]
- 2019년 117회 기출문제
- 2019년 119회 기출문제
- 시험지 다운로드
- 연도별 기출문제 모음
2019년 제117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기출문제
1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10점)
1. 규제 샌드박스(sandbox)
2. 양자정보통신에서 양자(Quantum)의 특성
3. 스마트 도시의 복원력(Resilience)
4. 연동기획(Rolling Wave Planning)
5. 네트워크 전송계층(Transport Layer) 역할
6. 유니커널(Unikernel) 기반의 클라우드 운영체제
7. Wi-SUN(Wireless Smart Utility Network) 프로토콜
8. ISO 14971
9. 요구명세(Software Requirement Specification)
10.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구조
11. 썬더볼트(Thunderbolt) 인터페이스
12. IPsec
13. IPv6에서 사용하는 애니캐스트(Anycast) 주소와 멀티캐스트(Multicast) 주소를 비교/차이점
2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25점)
1. 디자인패턴 중 팩토리 메소드 패턴(Factory Method Pattern)을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아래의 클래스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팩토리 메소드 패턴이 적용된 자바코드(JAVA Code)를 생성하시오.

2. CPU의 동작을 감시하는 워치독 타이머(Watchdog Timer)에 대하여 기술하고 하드웨어 구현방법을 설명하시오.
3.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발전에 따른 금융생태계 변화를 설명하시오.
4. 4차 산업혁신을 위한 신뢰성 있는 통신의 중요성에 대하여 ISO 19626을 활용하여 설명하시오.
5. Multiplexing과 Multiple Access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6. 메시지 인증 기법과 디지털 서명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25점)
1. 조달청은 공공소프트웨어 사업 유형에 맞는 제안서 평가기준 마련을 위해 ‘조달청 협상에 의한 계약 제안서평가 세부기준’을 개정, 2019년 2월부터 시행하기로 하였다. 기존에 단일 기준으로 평가하였던 소프트웨어 사업을 유형에 맞게 다양화하여 평가하는 배경과 변경된 사업 유형의 주요 내용을 설명하고, 각 사업 유형별로 효율적인 제안서 작성 방안을 기술하시오.
2. 블록체인(Blockchain)의 개념을 분산원장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과 비교하여 설명하고 블록체인의 세부 기술요소와 국내외 서비스동향을 설명하시오. 그리고 이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국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전자정부의 챗봇(ChatBot) 활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IP 터널링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SSL(Secure Sockets Layer) 프로토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25점)
1. 2018년 5월 25일부터 시행된 EU(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 법령인 개인정보보호규정(GDPR :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에 대해 우리기업도 대응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아래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2018년 5월에 시행된 GDPR관련 주요 변경 사항
나. GDPR의 주요 골자
다. EU GDPR과 한국 개인정보보호법 비교
라. 우리기업의 준비사항
2. 프로젝트 관리 요소 중 위험관리 영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위험관리와 이슈관리를 비교
나. Boehm의 10대 위험 목록(자주 발생하는 위험 요소)
다. 프로젝트에서 위험과 이슈의 통합관리 방안
3. 스마트공장 성공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역할과 과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의료기기 분야의 국내 중소기업이 관련 소프트웨어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한 제품을 개발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아래 2가지 사항을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가.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관련 표준
나.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품질관리시스템
5. VR(Virtual Reality) 미디어 획득을 위해 아래 사항들을 설명하시오.
가. 3-DoF(Degrees of Freedom) 지원 VR 미디어 획득
나. 6-DoF(Degrees of Freedom) 지원 VR 미디어 획득
6. 4G/5G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을 설명하시오.
2019년 제119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기출문제
1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10점)
1. SVM(Support Vector Machine)
2. 인공신경망의 오류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
3. 오버라이딩(Overriding)으로 함수를 재정의 하는 이유
4. HTTP 3.0
5. Biba Integrity Model
6. 모니터(Monitor) 프로세스 동기화 기법
7. Ad-hoc Network Routing Protocol
8. OAuth 2.0
9. 포그 컴퓨팅(Fog Computing)
10. 어플라이언스(Appliance) 서버
11. FeRAM/STT-MRAM/PRAM
12. SCSI RDMA(Remote Direct Memory Access)
13. WAF(Web Application Firewall)
2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25점)
1. OpenStack의 특징과 구성도 및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구현 방식과 서비스 형태에 따라 비교하여 설명하고, SSL VPN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고 있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기술은 실제로 적대적 공격(Adversarial Attack)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적대적 공격
2) 적대적 공격을 위한 적대적 샘플(Adversarial Sample) 제작기법
3) 적대적 공격에 대한 방어기법
4. DNS를 은닉채널(Covert Channel)로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DNS Covert Channel 공격모델 및 방어기법을 설명하시오.
5. TTA 기반으로 정보시스템의 H/W 용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H/W 규모산정 방법에 대한 개념 및 장·단점
2) 규모산정 대상
3) CPU 및 스토리지의 성능 기준치
6.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인 가상화 관련 기술 중 가상머신과 컨테이너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3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25점)
1. 피보나치 수 Fn은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정의된다. F0=0, F1=1, …, Fn=Fn-1+Fn-2. 피보나치 수를 재귀함수를 이용하여 의사코드(Pseudo Code) 또는 임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하고, 재귀함수보다 효율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기법을 제시하시오.
2. IPv6의 ND(Neighbor Discovery)의 기능과 ND와 관련된 ICMPv6 메시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국가기반시설을 원격에서 감시 및 제어하는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고, SCADA 공격용 프로그램인 Stuxnet의 동작과정 및 대응방안을 설명하시오.
4. 정보시스템감리 과업이행여부 점검 시 표본조사가 원칙이나 현실적으로는 발주기관에서 전수조사를 원칙으로 요구하는 사례가 많은 실정이다.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과업이행여부 전수점검에 대한 현실적 한계성과 감리에 미치는 문제점
2) 과업이행여부 전수점검에 대한 개선방안인 문서검토확인과 제3자 검증 방법
5.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가 산업전반에 걸쳐 상용화되고 있다. 대용량 데이터의 처리 및 검색 성능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파티션을 통해 분산 및 저장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파티셔닝을 추진하는 목적
2) 파티셔닝 종류
3) 분할 기준
6. 최근 차세대 시스템을 추진하는 금융기업에서는 개발자 확보 및 모델 중심의 개발을 목적으로 MDD(Model Driven Development)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발방법론 특징 비교(구조적 방법론, 객체지향 방법론, CBD, MDD)
2) MDD 개념 및 특징
3) MDD 개발참여자의 역할
4) MDD 유용성과 제약사항
4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25점)
1. SDN 아키텍처와 Openflow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및 활용을 위한 기술들을 설명하시오.
3. 딥러닝(Deep Learning) 가중치 학습을 위한 경사하강법(Gradient Descent)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경사하강법의 개념
2) 경사하강법에서 오버슈팅(Overshooting)을 방지하는 방법
3) 경사하강법에서 지역 최소점(Local Minimum)에 빠지지 않고 본래의 최소점에 도달하기 위한 기법
4. 개발단계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 품질평가 및 신뢰도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데이터가 국가 미래 산업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데이터 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오픈 데이터 플랫폼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데이터의 생명주기
2) 문서의 개방방식
3) LOD(Linked Open Data)의 기술요소
6. 금융 산업에서는 고성능의 트랜잭션 처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초고속 트랜잭션 처리를 위해 In-Memory Computing 기술을 도입하고자 한다.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In-Memory Computing의 등장배경
2) In-Memory Computing 기술
시험지 다운로드
아래에서 2019년 실시된 제117회, 제119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기출문제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연도별 기출문제 모음
- 2011년까지 : 전자계산기술사, 전자계산조직응용기술사 별도 시행
- 2012년부터 : 둘이 합쳐져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시행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