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실시된 제120회, 제122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기출문제 모음입니다.
[목차]
- 2020년 120회 기출문제
- 2020년 122회 기출문제
- 시험지 다운로드
- 연도별 기출문제 모음
2020년 제120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기출문제
1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10점)
1. 프리크라임(Pre-Crime) 시스템
2.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 RNN)
3. 국가재난안전통신망(PS-LTE)과 철도전용무선통신망(LTE-R),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LTE-M)을 설명하시오.
4. ISO 20547
5. GPU(Graphics Processing Unit)
6. 네트워크 운영 체제(Network Operating System : NOS)
7. 원격 프로시저 호출(Remote Procedure Call : RPC)
8. 대역확산(Spread Spectrum)
9. 레터럴 무브먼트(Lateral Movement)
10. CAM(Content-Addressable Memory)에 대하여 일반적인 메모리와 비교하여 설명하시오.(기본개념, 액세스 방법 및 활용분야)
11.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쳐(Micro-service Architecture)
12. 세마포어(Semaphore)와 뮤텍스(Mutex)를 비교 설명하시오.
13. RTLS(Real-Time Locating System)
2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25점)
1.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와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에 대하여 설명하고 아래 표를 참고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가설과 비용함수를 설정하시오.
나. 가중치(Weight) 변화에 따른 비용 간 그래프를 도식화 하시오.
다. 가설과 비용함수를 통해 비용이 최소화되는 가중치를 구하시오.
2. 최근 정부는 공공기관이 보유 및 관리하는 데이터의 제공 및 그 이용활성화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공공데이터에 대한 이용권을 보장하고 궁극적으로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공공데이터제공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가. 공공데이터의 정의 및 포맷별 유형
나. 공공데이터 제공과 공개의 차이점
다. 공공데이터 제공 관리 단계별 기준
라. 공공데이터 품질 관리 단계별 기준
마. 공공데이터 제공시 고려사항
3. 회사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내부망과 외부망으로 분리하여 운영하고자 한다. 망분리 용역발주 시 필요한 기술사양서(Technical Specification)에 포함하여야 할 목차(Table of Contents)를 설명하시오.
4.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의 구성요소, 감시(Monitoring)와 제어(Control)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5. 인터럽트(Interrupt)에 대하여 다음사항을 설명하시오.
가. 인터럽트 발생 요인(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나. 마스커블(Maskable) 인터럽트와 넌마스커블(Non-maskable) 인터럽트
다. 벡터(Vectored) 인터럽트의 동작원리
라. 우선순위(Priority)를 보장하는 다중(Multiple) 인터럽트가 발생한 경우 이를 처리하기 위한 ISR(Interrupt Service Routine)을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여야 하는 기능요소들과 상호 연관시켜 설명하시오.
6.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에 대하여 다음 사항들을 설명하시오.
가. 디지털 트윈의 정의와 출현배경
나. 디지털 트윈과 M&S(Modeling & Simulation)의 연관성
다. 디지털 트윈의 산업분야 적용
라. 디지털 트윈 운영환경(소프트웨어 측면의 구성요소, 산업분야 운용을 위한 HW 및 시스템 SW 인프라)
3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25점)
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가능케 하는 오류제어, 흐름제어, 혼잡제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모바일 및 임베디드 시스템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ARM(Advanced RISC Machine) 프로세서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가. ARM 프로세서의 특징
나. ARM 하드웨어 임베디드 시스템 아키텍처
다. ARM 소프트웨어 계층 구조
3. 기능안전(Functional Safety) 분야에서 사용하는 정보통신망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에 필요한 기술평가 항목들(Technical Evaluation Items)과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시오.
4.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의 학습 방법은 크게 3가지[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로 분류한다.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V모델 기준으로 도식화하고 관련기술의 최신 동향 및 안전 취약성을 설명하시오.
5.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스마트팩토리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가. 국내 스마트팩토리 확산을 위한 정책과 대응방안으로 국내 민관합동 스마트팩토리 추진단은 한국형 스마트팩토리를 IT기술과 자동화 기술을 최대한 활용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에 의한 국내 스마트팩토리의 수준을 고도화, 중간수준2, 중간수준1, 기초수준, ICT 미적용 등 5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각 수준별 공장자동화, 공장운영, 기업자원 관리, 제품개발, 공급사슬 관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나.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요소기술은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새로운 개념의 기술이 언제든지 등장할 수 있어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바뀔 수 있다. 현재시점에서 스마트팩토리를 구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요소기술을 나열하고 설명하시오.
6. 마이크로컴퓨터에서 PWM(Pulse Width Modulation)을 발생시키고자 할 때, 다음과 같은 사항을 참조하여 설명하시오.
가. 마이크로컴퓨터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의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있다. 즉, 0으로부터 count-up을 반복하는 8비트의 Read/Write 가능한 “카운터레지스터(Counter Register)”와 카운터 레지스터 값과 비교하기 위한 값을 저장하는 8비트의 “출력비교레지스터(Output Compare Register)”가 있고, 카운터 레지스터의 값이 출력비교레지스터에 저장된 값과 같을 때 비교출력신호의 상태를 변화시킨다. 마이크로컴퓨터의 CPU 클럭주파수 f=16MHz로 하고, 이를 64분주하여 카운터레지스터의 카운팅 기준시간으로 적용한다.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컴퓨터에서 PWM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원리를 개념적으로 설명하시오.
나. “가”항의 원리를 이용하여, PWM의 duty cycle을 고속(90%), 중속(70%), 저속(50%) 등으로 조절하여 모터의 속도제어나 조명의 디밍(dimming)제어가 가능함을 계산을 통하여 설명하시오. (단,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은 조건은 임의로 정의 가능)
4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25점)
1. 병렬처리를 위한 컴퓨터구조설계기법으로 분기예측 기술의 2가지 방법인 분기방향 예측과 분기목적지예측에 대해 설명하고 예측실행(Speculative Execution)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ISO 7498이 필요한 이유와 각 계층별 역할 및 기능, 취급하는 자료 형태와 관련 장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회사 내 사이버보안 조직의 역할 및 책임사항을 평상시와 비상시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4. 기능안전 분야(국방, 우주/항공, 철도, 선박, 자동차 및 의료 등)에서 능동안전(Active Safety) 개념을 적용하여 소형 디지털 제어기(Small Digital Controller)를 설계하고자 한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관점에서 안전설계 개념(Safety Design Concept)과 안전메카니즘(Safety Mechanism)을 설명하시오.
5. 포그 컴퓨팅(Fog Computing)을 설명하고, 엣지컴퓨팅(Edge Computing) 및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6. 교환방식에 있어서 회선교환(Circuit Switching) 방식과 패킷교환(Packet Switching)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고, 음성데이터나 영상데이터와 같은 실시간 트래픽 서비스를 패킷교환방식의 네트워크에서 제공하고자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20년 제122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기출문제
1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10점)
1. 전가산기(Full Adder)
2.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3.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4. 해밍거리(Hamming Distance)
5. IMDG(In-Memory Data Grid)
6. Graph DB
7. Scale-Up/Scale-Out
8. GPU(Graphic Processing Unit)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 차이점
9. 백트래킹(Backtracking), 분할정복, 탐욕법, 동적계획법의 개념 및 알고리즘 사례
10. 인공지능 데이터의 평가를 위한 고려사항
11.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모델
12. 생성적 적대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 GAN)
13. 기울기소실 문제(Vanishing Gradient Problem)
2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25점)
1. 자율주행의 기술동향 및 핵심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OSI 7-Layer의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와 데이터 레이크(Data Lake)의 특징을 비교하고, 빅데이터의 요소기술과 기술영역별 표준화 대상항목을 설명하시오.
4. 최근 개정된 데이터 3법의 주요 개정내용과 개인정보/가명정보/익명정보의 활용 가능 범위, 기대효과, 후속 추진현황을 설명하시오.
5. 패션 의류용 이미지를 분류하는 다층 신경망을 만들려고 한다. 의류용 이미지는 바지, 치마, 티셔츠 등 10가지 유형의 흑백이미지(32*32 pixels)로 구성되어 있고, 학습에 투입할 이미지 데이터는 검증 및 테스트용 데이터를 제외하고 총 48,000장이다.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의 완전연결(fully connected) 3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은닉층의 뉴런 개수는 100개일 때,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신경망 구성도
나. 입력층의 입력개수, 출력층의 뉴런개수, 학습할 가중치와 절편의 총 개수
다. 원핫인코딩(One-Hot Encoding)과 소프트맥스(Softmax)함수
6. 인공지능(AI) 윤리의 개념, 주요사례, 고려사항 및 추진방향을 설명하시오.
3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25점)
1. 오픈소스 솔루션은 상용 소프트웨어처럼 사용료는 요구하지 않지만, 대신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의무조항이 있다.
가. 오픈소스 솔루션의 의무조항을 설명하시오.
나. 오픈소스 솔루션과 상용 소프트웨어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2. 6G 이동통신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로서 블록체인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가. 블록체인 기술의 장점,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설명하시오.
나. 공개형과 허가형 블록체인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4. DNS(Domain Name System)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머신러닝 모델은 학습과 함께 검증 및 평가 과정이 필요하다.
가. 교차검증(k-fold Cross Validation)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나. 머신러닝 모델의 평가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경사하강법(Gradient Descent)은 인공신경망 학습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법이다.
가. 평균제곱오차 비용함수를 가중치에 대해 편미분한 후 학습률을 곱한 값을 기존 가중치에서 차감하여 가중치 갱신을 수행한다고 가정할 때, 가중치 최적해의 좌측 또는 우측 어디에서 시작하든 상관없이 최적해를 향해 진행하는 이유를 수식적으로 설명하시오.
나. 확률적경사하강법, 배치경사하강법, 미니배치경사하강법의 개념과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4교시 기출문제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25점)
1. 종료단계 감리 시 감리원은 구현기능을 직접 테스트하여 과업이행여부를 판정하도록 정보시스템감리 수행가이드에 안내되어 있다.
가. 감리원이 직접 테스트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사례를 설명하시오.
나. 검토 및 확인, 제3자검증 점검방법을 통한 개선방안을 설명하시오.
2. 정렬 알고리즘은 컴퓨터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분야 중 하나이다.
가. 선택정렬(Selection Sort)과 삽입정렬(Insertion Sort), 퀵정렬(Quick Sort) 알고리즘을 설명하시오.
나. 다음 키 값을 갖는 파일을 퀵정렬(Quick Sort)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려고 한다. 피벗이 50일 때 수행되는 분할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시오. (단, n=8 : 50, 80, 20, 90, 40, 10, 30, 60)
3. UDP(User Datagram Protocol)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설명하시오.
4. 정보보안의 주요한 세 가지 목적 및 각각의 목적을 위협할 수 있는 공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응용시스템 개발과정에서 적용할 테스트 기법을 결정하는데 고려해야 할 사항과 단위 테스트를 종료하는 기준을 설명하시오.
6. 클라우드 컴퓨팅은 ICT를 실현하는 핵심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가.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반기술 개념 및 요소기술을 설명하시오.
나. 클라우드 컴퓨팅의 생태계를 설명하시오.
시험지 다운로드
아래에서 2020년 실시된 제120회, 제122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기출문제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연도별 기출문제 모음
- 2011년까지 : 전자계산기술사, 전자계산조직응용기술사 별도 시행
- 2012년부터 : 둘이 합쳐져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시행
답글 남기기